한번 다친 무릎, 움직임 불편하고 소리까지 난다면?

입력 : 2014.12.22 10:37 수정 : 2014.12.23 00:09

얼마 전 40대 후반의 남자 환자가 무릎 통증을 호소하며 진료실로 찾아왔다. 무릎을 굽히고 펴는 동작이 불편하고, 통증이 커서 잠을 제대로 이룰 수 없을 정도라고 했다.

언제부터 증상이 있었느냐고 물었더니, 올가을 등산 중 무릎을 다친 적이 있다고 했다. 부상 후 통증이 가벼워 참고 견뎠는데, 점점 심해지더니 얼마 전부터는 일상 생활이 불편할 만큼 악화됐단다. 검사 결과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져 있었다. 생각보다 광범위하게 연골이 손상돼 있어 결국 수술을 받았다.

[바른세상병원의 바른 척추·관절]한번 다친 무릎, 움직임 불편하고 소리까지 난다면?

다소 생소한 이름의 반월상 연골판은 허벅지뼈와 정강이뼈 사이를 잇는 무릎 조직으로, 충격을 흡수할 뿐 아니라 연골의 접촉 면을 넓혀 관절이 잘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 스포츠 외상이나 사고 등 큰 충격을 받으면 손상된다. 찢어진 연골판 조각이 관절 사이에 껴 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통증과 함께 무릎이 굽혀지지도 펴지지도 않는 잠김 현상이 나타나 환자들이 불편함을 크게 느끼기도 한다.

초기에는 무릎의 힘이 빠지는 느낌과 함께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날 때나 몸의 방향을 갑자기 돌릴 때 가볍게 아프다. 하지만 위 환자처럼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면 심한 통증과 함께 걷기조차 힘들어지며, 무릎 안쪽에 결리는 느낌이 들거나 무릎이 제대로 펴지지 않는 단계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또 연골판은 한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손상 정도에 따라 관절내시경을 통한 봉합술이나 절제술, 연골판 이식술 등을 시행한다. 광범위하게 찢어졌거나 남아 있는 연골판의 기능적인 문제가 발생할 정도라면 연골판 이식술이 효과적이다.

비슷한 증상의 무릎 질환으로 관절연골 손상 혹은 관절연골 결손의 가능성도 있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과 같이 무릎이 잘 펴지지 않거나 굽혀지지 않는 잠김 현상과 더불어 무릎 안쪽에서 ‘사각사각’ 하는 소리까지 난다면 관절연골의 문제를 의심할 수 있다. 심할 경우 떨어져 나간 연골 조각이 정상적인 연골까지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손상 부위가 1㎝ 이하인 경우에는 미세골절술이 효과적이다. 이는 연골 아래 뼈의 일부분에 구멍을 내어 출혈을 유발시킨 후 그 반응을 이용해 연골이 함께 다시 생기는 원리를 이용하는 시술법이다. 하지만 연골 결손 부위가 넓다면 더 많은 연골세포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신의 정상 연골 조직을 조금 떼어내 체외에서 배양한 뒤 손상 부위에 이식하는 ‘자가 연골 세포 배양 이식술’을 진행한다. 이식 후 6~12주 지나면 정상적으로 걸을 수 있는 정도로 회복력이 빠르다. 또한 줄기세포 연골 재생술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끝으로 연골판 파열과 관절연골 손상의 경우 그대로 방치하면 손상 범위가 넓어져 수술이 불가피하거나 무릎 퇴행성 관절염을 부추기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무릎이 불편하다면 바로 전문의의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고 싶다.

특히 연골판 파열은 X-ray 검사만으로는 진단이 불가하기 때문에 자가공명영상(MRI)과 숙련된 전문의의 촉진 등 보다 정확한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현명하다.

박수, 공유 영역

댓글 레이어 열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