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욱 “청와대·법무부가 국정원 댓글사건 수사 외압” 폭로

입력 : 2017.07.06 07:07

서울경찰청-한나라당-국정원 차명폰 통화 언급…국정원 DB 조사 촉구
“국정원 댓글 수사 당시 ‘윗선’의 외압이 있었다.”

박근혜 정권 초기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수사를 지휘하다 혼외자 의혹으로 사퇴한 채동욱(58·사법연수원 14기) 전 검찰총장이 국정원 수사 당시 ‘윗선’의 외압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연합뉴스 5일 보도에 따르면, 채동욱 전 총장은 5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당시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에 대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가 인정된다고 법무부에 처리 계획을 보고했다”며 “그때부터 선거법 위반 적용과 구속은 곤란하다고 다각적인 말들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채동욱 전 검찰청장이 국정원 댓글 수사 당시 ‘윗선’의 외압이 있었다고 폭로했다. /JTBC ‘뉴스룸’

채동욱 전 검찰청장이 국정원 댓글 수사 당시 ‘윗선’의 외압이 있었다고 폭로했다. /JTBC ‘뉴스룸’

채동욱 전 총장은 “구체적으로는 (밝히기) 어렵고, 청와대와 법무부 쪽”이라며 “저한테도 (외압이) 왔고, 수사팀에도 왔고 다각적으로 (왔다)”고 말했다.

채동욱 전 총장은 또 김용판 전 청장의 무죄를 받은 사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용판 전 청장은 2012년 당시 대선 TV 토론이 끝난 뒤 ‘국정원 직원 컴퓨터에서 댓글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이후 검찰 수사에서 허위로 드러나 기소됐다.

채동욱 전 총장은 이에 차명폰 통화 기록 등 중요 증거가 법정에 제출되지 않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말이 있다고 주장했다.

채동욱 전 총장은 “국정원이라든가 경찰, 또는 한나라당 정치인이라든가 관련자들 사이에 (중간수사 결과 발표) 하루 이틀 전부터 엄청난 통화내역이 포착됐다”며 “통화 내용까지 확인할 순 없었지만 내역 분석으로 봐서는 서울경찰청과 한나라당 캠프 쪽에서 긴밀한 교신이 얼마나 있었는가를 보여주는 중대한 정황 증거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채동욱 전 총장은 ‘국정원 개혁 발전위원회’가 국정원 댓글 사건 등을 재조사하겠다고 밝힌 데에 “매우 시의적절한 내용”이라며 검찰이 당시 압수수색을 하지 못한 국정원 내부 데이터베이스(DB)를 조사해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동욱 전 총장은 “국정원 DB는 제가 알기로는 삭제가 어렵고 대부분 자료가 지금도 있을 듯하다”며 “지운 사람이 있다면 책임 추궁이 가능할 것이고, 지우라고 지시한 사람에게 책임이 있을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박수, 공유 영역

댓글 레이어 열기 버튼

오늘의 인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