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문 안이 진짜 서울? 공화국 시민의 '서울 선언'

입력 : 2018.06.22 18:33

<서울 선언> 김시덕 지음, 열린책들 펴냄

[스경의 한 줄 책] 사대문 안이 진짜 서울? 공화국 시민의 '서울 선언'

“현대 한국의 변화는

언제나

서울의 ‘땅끝’에서 시작되었다.”

********************

이 책은 찬란한 ‘우리 문화유산’을 찬미하려고 쓴 게 아닙니다. ‘아픈 근대의 흔적’을 반추하고자 쓴 것도 아닙니다. 그러한 역사성, 상징성을 강하게 드러내는 건물이나 공간의 그늘에서, 그 의미를 생각해 주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고 사라져 가는 서울 곳곳의 건물과 공간들을 살폈습니다. 그곳들은 평소에 우리가 통학· 통근할 때 무심히 지나치다가, 철거된 뒤에야 ‘그런 곳이 있었지’하고 문득 떠올리는 곳들입니다. -34쪽

조선 시대에 산수화에 그려져서 그 유래를 전하고 있는 사대문 안 관청과 대갓집들, 지배층이 한강가에 세운 정자들만 서울의 역사를 담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서울의 모든 동네, 모든 건물은 그 모습 그대로 전부 뜻깊고, 전부 읽어 낼 거리가 무궁무진합니다. 이제까지 서울을 말해 온 사람들이 조선시대 궁궐과 왕릉, 양반의 저택과 정자들을 주로 거론해 온 것은 대단히 편협한 귀족주의적 세계관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33쪽

저의 40년 삶을 돌아보면, 서울이라는 도시가 한양과 경성의 범위를 넘어 팽창해 가는 과정이 그려집니다. 저는 부천시 소사, 잠실, 재개발 전의 안양시 평촌, 신반포, 구반포, 안암동, 중계동, 고양시 일산, 개포동, 낙성대에서 살았습니다. 저는 저 스스로를 서울 시민이라고 생각하면서 살아왔지만 그 기간 동안 줄곧 ‘사대문 안이 진짜 서울이다’라는 말을 들어 왔습니다. 이 말에 따르면 저는 40년 넘게 서울시에 살고 있으면서도 진짜 서울로 인정받는 곳에서는 한 번도 살지 못한 게 됩니다. 납득할 수 없었습니다. -42쪽

현대 서울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생각할 때, ‘대경성’이 탄생한 1936년과 ‘대서울’이 탄생한 1963년이 그런 획기적인 시점(이전의 역사와 문화가 결정적으로 단절되는 시기)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전 시대에 사대문 안팎에 존재한 한양 혹은 경성은 오늘날 대부분의 서울 시민들에게는 외국 역사와 같은 것입니다. 지역적으로도 무관할 뿐 아니라, 사대문 안에서 주로 기념되고 있는 지배층 남성의 유적과 유물은 한때 한반도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한 평민· 노비의 후손인 현대 서울의 남녀 시민들과는 별로 관련이 없습니다. -51쪽

청계천은 오늘날의 서울이 시작된 지점입니다. 청계천 남쪽에는 19세기 말에 일본인들의 신도시가 만들어졌고, 북쪽에서도 오늘날 ‘북촌’의 원형이 만들어집니다. …북촌 한옥은 조선 시대 양반들의 집이 아니라, 식민지 시대 중산층 조선인들의 ‘마이홈’이었습니다. -149쪽

대한민국 정부와 서울특별시는 빈민과 공장 노동자들을 서울의 끝으로 밀어내서 그들과 그 밖의 서울 시민들을 분리하려 했지만, 서울의 끝에서 봉기한 그들의 용기와 희생은 현대 한국의 역사를 크게 진전시켰습니다. 현대 한국의 변화는 언제나 서울의 ‘땅끝’에서 시작되었습니다. -313쪽

한반도 역사의 대부분 시기에 대부분의 서민들이 살아 온 집은 기와집이 아니었습니다. 그렇기에, 삼남 지역의 커다란 기와집 형태만 짓게 한 동네를 ‘한옥 마을’이라고 부른 것은 조금 심하게 말하자면 역사 왜곡이고, 온건하게 말하자만 ‘만들어진 전통’입니다. -375쪽

사대문 밖에 존재하는 수많은 건물과 길과 도시 구획은 오늘도 어딘가에서 철거되고 재개발되고 있습니다. 백 년 전에 망해 버린 조선이라는 나라의 유적을 복원이라는 이름으로 창조하기 위해 민주공화국의 수도인 서울의 유산을 파괴하는 것을 저는 반대합니다. … 키 낮은 건물로 가득한 문래동이나 돈의동, 봉천동 같은 곳은 결국 재개발될 것입니다. 저는 이런 변화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서울이라는 도시가 살아있다는 증거로서 받아들입니다. 다만, 40여 년간 저라는 사람을 만들어 준 공간들이 없어지는 데 대한 안타까움이 사라지지 않을 뿐입니다. -401쪽

박수, 공유 영역

댓글 레이어 열기 버튼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