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대다수가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 ‘위험하다’고 생각하지만, 수입은 오히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년간 횟감으로 ‘방어’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일본산 방어에 대한 원산지 표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수입량이 늘었다는 지적이다.
9일 최인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무역협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본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본격화된 지난 8월 일본산 담배 수입량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85.4%, 사케는 68.9%가 감소했다. 골프채와 디지털 카메라 역시 25.3%와 23.4%가 줄어들었다. 눈에 띄는 것은 수산물 수입의 꾸준한 증가. 일본산 수산물은 지난 2015년 이 후 꾸준하게 증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산 수산물은 지난 2010년 2억 2522만 달러가 수입됐지만, 후쿠시마 대지진이 발생한 2011년에는 1억 6718만 달러로 줄어들었고, 이후 해마다 수입액이 낮아져 2014년도에는 1억 77만 달러로 절반 이하로 하락했다. 그러다가 2015년부터는 다시 늘어나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1억 4630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량을 이끈 것은 방어로, 2011년 총 수입액이 53만 달러에 불과해던 일본산 방어는 지난해 1496만 달러까지 올라 무려 28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오후 경기도 과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보건연구사들이 일본산 수산물 및 가공식품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는 지난 8일, 인재근 의원실(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자료와 배치되는 결과다. 인 의원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조사해 이날 공개한 ‘일본수산물 안전성과 검역강화 관련 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국민 82.2%는 일본산 수산물이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괴리에 대해 업계에서는 최근 후쿠시마산을 포함한 일본산 수산물이 원산지 표시를 속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것을 이유로 지적했다.
수산물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 유통되고 있는 방어의 상당량이 일본산이지만, 이를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는 매우 드물다”면서 “일부는 국산으로 둔갑돼 판매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따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품질관리원은 다음달 31일까지 수입 수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행위 특별단속을 실시한다. 특별단속 대상은 문제가 되고 있는 방어를 비롯해, 생태(냉장명태)와 참돔, 우렁쉥이, 참가리비, 꽁치, 뱀장어, 낙지 등 8개 품종이다. 이들 품종은 수입량이 많고 원산지표시 위반 소지도 높다.
이와 함께 해수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원산지표시 위반 신고포상금을 기존 최대 2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상향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