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레이블시스템 도마 위에
독과점 목소리도 ‘아우성’

그룹 뉴진스(위)와 아일릿. 하이브 제공
‘봉건제’를 표방한 하이브의 레이블간 분쟁은 예정된 일이었을까.
어도어 민희진 대표와 하이브간의 ‘맞다이’가 성사되면서 집안 싸움이 격화되고 있다. 레이블을 인수하고 산하 레이블로 두며 덩치를 불려 온 하이브의 이번 내홍은 하이브가 내세워왔던 멀티 레이블 시스템에 대한 물음표를 안기게 된 선례로 남게 될 전망이다.
하이브가 카카오와 벌인 SM엔터 인수전에서도 멀티 레이블 시스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카카오와 치열한 인수전 당시 하이브 방시혁 의장이 내세운 명분 또한 멀티 레이블 체제였다. 방시혁 의장은 당시 인터뷰에서 “매니지먼트 팀이 대주주 없이 분산 점유된 회사를 본인들의 마음대로 운영하고 이야기하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며 당시 SM엔터 경영진을 비판했다.
이뿐 아니라 방시혁 의장은 하이브에 대해 “원래 아티스트들의 자율성을 건드리지 않고, 경영 절차 및 과정이 좋은 회사가 되기 위해 도와주는 것으로 잘 알려진 회사”라고 소개했다.
반면 SM엔터 내부 관계자들은 이에 반박했다. SM엔터 핵심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에 “이미 산하 레이블간 연습생 교환이 비일비재하고 그렇게 탄생한 그룹들이 있다. 하이브가 더 큰 지분을 가진 레이블에 좋은 연습생을 배치해 그룹이 나오게 될 것”이라며 “하이브와 함께 일단 작업자들에 따르면 방시혁 의장 역시 이수만 SM엔터 전 프로듀서와 다를 것 없이 레이블 프로듀싱에 관여, 컨펌하고 그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제작이 이뤄지는 것으로 안다. 공공연한 사실이고 당연히 레이블이 되면 독자성 유지는 불가능하다”고 했다.
당시 매출 규모로 엔터업계 1위인 하이브와 2위인 SM엔터가 한 회사가 될 경우 독과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하이브 방시혁 의장(오른쪽)과 어도어 민희진 대표.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 관계자는 “엔터 업계는 사람이 기술과 노하우의 집약체인데 인수되면 당연히 하이브가 이를 넘겨 받게 된다. 하이브로서 다시 없을 기회였을 것”이라며 “방탄소년단 군 입대 이후 업계 리딩 위치를 확고히 하면서 경쟁 부담도 해소되고 일단 국내 가요계는 하이브가 좌지우지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선순환 경쟁이 없는 독과점 생태계가 되는 셈”이라고 했다.
앞선 우려는 이미 현실화된 모양새다. 민희진 대표 분쟁 사태로 하이브 내 레이블간 그룹들의 경쟁과 일부 그룹 밀어주기, 레이블에 대한 제한 정책, 레이블 가수 간 콘셉트 겹치기 등 멀티 레이블 시스템으로 몸집을 불려온 하이브는 이번 사태로 자신들의 적정성에 대한 시험대에 올려 진 것이다.
하이브의 수많은 레이블과 소속 그룹들의 순차적인 활동으로 인해 제한적인 음악방송무대에서는 중소 연예기획사는 물론 기존의 대형 기획사들도 설자리를 부족하다는 아우성이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하이브의 그룹 ‘찍어내기’ 데뷔와 활동 때문에 그야말로 방송에 설 자리 조차 찾기가 어렵다”며 “중소 기획사뿐만 아니라 덩치가 있는 기획사들도 하이브 레이블 소속 가수들에 밀려 무대에 서기 어렵고 방송사에 대한 로비만 더 격화되고 있다”고 했다.
하이브는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 최초로 대기업집단 지정을 앞두고 있다. 하이브 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5조3457억원으로 전년 대비 9.8% 증가했다. 하이브의 지분 31.57%를 보유하고 있는 방시혁 의장 또한 동일인(총수)로 지정될 가능성이 크다.
하이브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고 2일 발표했다.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3609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투어스와 아일릿의 성공적인 데뷔가 선배 아티스트 휴식기 영향을 상쇄했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