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양 사이버렉카 협박, 유튜브·정부 책임져야” 정치권도 목소리

입력 : 2024.07.11 14:28

‘렉카연합’ 쯔양 협박 일파만파

유튜브·정부기관 책임론 대두

유튜버 쯔양(왼쪽)과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경향신문 자료사진

유튜버 쯔양(왼쪽)과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경향신문 자료사진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사이버 렉카들의 폐해를 지적하며 유튜브와 정부기관의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했다.

전용기 의원은 11일 페이스북에 “사이버 렉카의 문제점과 유튜브의 방관적 태도,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쯔양 사건은 사이버 렉카의 문제점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인기 유튜버 쯔양이 겪은 사생활 침해와 허위사실 유포는 단순한 온라인 괴롭힘을 넘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용기 의원은 이러한 사이버 렉카의 피해가 반복되는 원인 중 하나로 유튜브와 정부기관의 방관을 지적했다. 그는 “유튜브는 조회수와 광고 수익에만 집중하는 문제적 콘텐츠에 대한 적극적인 모니터링과 제재를 소홀히 하고 있다”며 “플랫폼 운영자로서 책임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플랫폼 운영자로서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용자 자율을 앞세우지만, 실제로는 사이버렉카의 활동을 부추기고 더 많은 피해자를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며 “유튜브는 플랫폼 이용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할 의무가 있고 이를 방임하는 태도는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했다.

이뿐 아니라 전용기 의원은 “방통위와 방심위는 유튜브를 비롯한 플랫폼 운영자들이 자체적인 노력에 나서도록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한다”며 “해외기업이라 법적, 행정적 조치가 닿기 어려운 부분은 현재 실정법인 정보통신망법이 규정하는 내용에 따라 엄격하게 가해자 처벌에 나서 달라”고 했다.

또한 “지금 이 시각에도 극도의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피해자들이 있다”며 “방통위와 방심위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유튜버 구제역, 카라큘라, 크로커다일, 간고, 엄태웅 등이 소속된 일명 ‘렉카 연합’에 소속된 사이버 렉카 유튜버들이 쯔양의 과거를 빌미로 관계자에게 수천만원을 뜯어낸 의혹이 폭로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공개된 녹취록에 따르면 쯔양의 과거를 빌미로 구제역과 전국진은 수억원을 뜯어내자고 공모했다. 구제역은 “이런 걸로 잘해서 GV80을 샀다. 쯔양이 입막음 비용으로 예전에 같이 일했던 여성들에게 매달 600만원씩 주는 걸로 알고 있다”며 “고소를 당해봤자, 벌금 몇백만원만 나올 거다. 이건 2억원을 현찰로 받아야 한다”고 했다.

이후 구제역은 쯔양 측과 5500만원에 달하는 계약을 맺었고, 금액 중 일부는 전국진에게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다.

구제역과 카라큘라의 녹취도 공개됐다. 이들은 쯔양 협박건과 관련해 서로 의견을 주고받았다. 구제역이 “엿 바꿔 먹는 것이 좋겠냐”고 묻자 카라큘라는 “쯔양을 건드리는 걸로 해서 한 10억원을 받으면 채널이 날아가도 10억원을 받으면 되는 건데, 그런 것이 아니면 상황이 좋지 않으니 잘 선택을 해라”고 답했다.

이외에도 구제역과 카라큘라는 코인 사기 의혹을 받는 서모씨로부터 약 3억원을 받았다며 “입만 맞춰놔라” “피해자들과도 입을 맞췄다” 등 금전적 이득을 함께 취한 의혹도 제기됐다.

해당 여파로 쯔양은 11일 라이브 영상을 켜고 전 연인으로부터 수년간 학대와 불법촬영물 협박을 당하고 강요로 인해 유흥업소에도 출근해야 했다고 고백했다. 약 40억원의 정산금도 제대로 받지 못했고 뒷광고·탈세 논란도 전 연인의 행위로 인한 것이었다고 했다. 쯔양은 전 연인에 대해 법적대응을 개시했으나 그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유튜버들의 협박건에 대해선 “직원들이 일을 처리해 저는 잘 알지 못한다”며 말을 아꼈다.

박수, 공유 영역

댓글 레이어 열기 버튼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