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O 어딨어?” 탄핵 정국 ‘연예인 리스트’ 흉흉

입력 : 2024.12.08 09:31 수정 : 2024.12.08 10:00
SNS 캡처

SNS 캡처

7일, 12·3 비상계엄 선포로 인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의결정족수 미달로 부결이됐다. 국민의힘 안철수·김예지·김상욱 의원을 제외한 여당 의원 105명이 표결에 불참한 가운데 연예계에서는 엉뚱한 후폭풍이 일었다.

지난 7일 밤과 8일에 SNS등에서 윤 대통령 탄핵에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표하고 용기를 보여준 스타와 아티스트들이 있는 반면, 무관심과 침묵으로 일관하거나 자신의 신변 일상에 몰입한 연예인들은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다.

한 누리꾼은 연예인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풍자를 했다. 이런 흐름은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영화인들을중심으로 ‘윤석열 탄핵’ 지지 성명이 이어지며 수면 위로 부상했다. 가수 임영웅 역시 반려견과 함께 한 일상을 SNS에 올렸다가 엉뚱한 유탄을 맞기도 했다.

영화감독과 영화배우 등 77개 단체 및 2518명은 7일 “‘내란죄 현행범’ 윤석열을 파면, 구속하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해당 긴급 성명에는 감독 봉준호, 변영주, 양익준, 정지영, 장준환 등과 배우 강동원, 김고은, 문소리, 전지현, 손예진 등 유명 스타들도 이름을 적시하며 동참했다.

임영웅 SNS

임영웅 SNS

이들은 성명서에서 “인문학적 상식으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이, 아무리 영화적 상상력을 동원해도 망상에 그칠 법한 일이 현실에서 일어난 것”이라며, “혼란한 상황을 극복하고, 추락한 대한민국의 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제1의 전제조건은 윤석열의 대통령 직무수행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탄핵이 가장 빠른 길이라면 탄핵을 선택해야 할 것이고, 그 이외에 파면시킬 방법이 있다면 가장 신속한 길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 5일에는 ‘영화산업 위기극복 영화인연대’가 성명을 통해 윤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촉구했다. 이들은 “12.3 비상계엄 사태’는 전 국민에게 지울 수 없는 끔찍한 악몽이었다”며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다는 비상계엄 선포 이후, 계엄군이 가장 먼저 들이닥친 곳은 대한민국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였다.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온다. 국회와 국민의 선거권을 짓밟은 쪽이 반국가세력이고, 체제전복세력”이라고 지적했다.

박수, 공유 영역

댓글 레이어 열기 버튼

기자 정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