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치료 환자, 겨울철 심혈관계 질환 예방 중요

입력 : 2025.02.14 10:39

혈액투석은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으로 꼽힌다. 이는 체내 혈액을 정화하여 노폐물을 제거한 후 다시 주입하는 방식이다. 신장 기능이 떨어진 환자들은 스스로 노폐물을 배출하기 어려워 혈액투석 치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치료법은 생존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이와 동시에 환자들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곧 다가올 겨울 한파는 혈액투석 환자들에게 심각한 심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부정맥, 심장판막질환, 심부전, 심근경색, 협심증 등의 심혈관계 질환은 투석 환자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문제다. 이러한 질환은 환자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서면바른내과 오유정 원장은 “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고혈압, 당뇨, 고지질혈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 위험요소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일반인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혈액투석 환자들에게 가장 주의해야 할 요소 중 하나는 고혈압이다. 투석 환자들은 체내의 체액 양이 증가하고 나트륨이 저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의 과도한 활동과 교감신경의 과다활동으로 인해 혈압이 높아지기 쉽다. 이러한 요소들은 심박 출량의 증가와 말초혈관 저항의 증가를 초래하여 고혈압을 유발한다.

겨울철에는 혈압 수치가 상승하기 쉬워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땀 배출로 인한 나트륨과 수분의 배출이 줄어들고 따뜻한 국물 섭취량이 늘어나는 겨울철의 생활 습관과 관련이 깊다. 또한 일조량 감소로 인한 비타민D 저장량 감소 및 부갑상선 호르몬(PTH)의 증가도 혈압 상승에 기여한다.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혈액투석 환자들은 투석액의 나트륨 농도를 조절하여 고농도 나트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투석 치료 시간이 짧다면 치료 횟수와 시간을 늘려 혈압을 조절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저산소증이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수면 장애 여부도 철저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서면바른내과 오유정 원장은 “겨울철에는 혈압을 자주 체크해 갑작스러운 혈압 상승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추운 날씨에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혈압이 계속 높게 측정될 경우에는 의료진과 적극적으로 상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수, 공유 영역

댓글 레이어 열기 버튼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