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보로
국내 식자재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외식업체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는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음식 가격을 즉각적으로 조정하기 어려운 현실과 맞물려 외식업 경영 환경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푸드테크 스타트업 마켓보로(대표 임사성)가 자사의 외식 사업자 전용 식자재 오픈마켓 ‘식봄’에서 판매되는 식자재 8,325개(SKU* 기준)의 가격 변동을 조사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전체 식자재 가격이 1년 전보다 평균 6.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 대상 식자재 중 약 3분의 2인 66.5%(5,535개)의 가격이 상승한 반면, 가격이 하락한 품목은 17.3%(1,439개)에 불과했다. 나머지 16.2%(1,351개)는 변동이 없었다.
주요 한식 재료인 채소류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양배추는 전년 대비 127.4% 올랐으며, 무도 124.2% 상승했다. 적채(69.7%), 미나리(47.5%), 배추(36.2%), 당근(28.6%), 우엉(25.4%), 쪽파(22.7%), 팽이버섯(18.9%) 등 한식 요리의 주재료나 밑반찬으로 많이 쓰이는 채소가 큰 폭으로 올랐다.
김 관련 제품 가격의 고공 행진도 이어지고 있다. 생김은 지난해 2월 말에 비해 99.8% 오른 가격에 거래됐고 김가루(80.2%)와 김밥김(72.9%)도 큰 폭으로 올랐다. 김 제품들은 지난해 4월 급등한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김밥집 등 김을 많이 쓰는 외식업체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어류 및 가공식품도 상승세에서 예외가 아니다. 어획량 감소로 인해 오징어 가격은 39.3% 올랐고, 고등어는 13.7% 상승했다. 국내산 김치(16.3%)와 수입산 김치(15.0%)도 동반 상승하며 외식업체들의 원가 부담을 키우고 있다.
그나마 외식업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쌀과 밀가루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며 부담을 일부 완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식자재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음식 가격 인상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외식 물가는 3.1%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는 마켓보로가 조사한 식자재 가격 상승률(6.1%)의 절반 수준으로, 외식업체들이 원가 상승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외식업 환경은 점점 악화되고 있다. 지난해 서울시에서 폐업한 외식업체 수(2만 7,328개)가 개업한 업체 수(2만 6,472개)를 처음으로 초과했다. (*출처: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또, 농촌경제연구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식업체의 영업비용 중 식재료 비중이 42.4%로 가장 높으며, 외식 사업자의 91.4%가 식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식봄 고참 리더는 “팬데믹 이후 외식업계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어 안타깝다”며 “식봄은 외식업체들이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상품 가격 경쟁력을 갖춘 판매자 입점 확대 및 시세 정보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