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기자간담회 현장.
올해 30돌을 맞이하는 부산국제영화제가 달라진다.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 측은 29일 부산 영화의전당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30회 행사를 앞둔 부산국제영화제의 계획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광수 이사장과 정한석 신임 집행위원장, 박가언 수석 프로그래머가 참석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최고의 아시아 영화를 선정하는 경쟁 부문과 부산 어워드(Busan Award) 신설이다. 경쟁 부문은 약 14편 내외를 선정하며, 심사를 거쳐 대상, 감독상, 심사위원 특별상, 배우상, 예술공헌상 등 총 5개부문을 폐막식에서 시상한다.

정한석 신임 집행위원장.
박광수 이사장은 “올해부터 부국제가 비경쟁 영화제에서 경쟁 영화제로 바뀐다. 국내 모든 영화제가 부국제를 모델로 했기 때문에, 거의 다 비경쟁 영화제로 되어 있다. 우리도 경쟁 영화제로 새롭게 준비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정한석 신임 집행위원장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로서, 부국제와 아시아 영화가 함께 걸어온 기억과 연대를 돌아보는 동시에 현재의 주요 현안을 진단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할 계획”이라며 “한국영화가 직면한 위기를 짚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포럼을 마련하여 실질적인 해법을 찾을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하겠다. 또 관객이 진정으로 보고 만나기를 원하는 작품과 게스트를 초청하여, 관객이 마음껏 영화제를 누릴 수 있는 진정한 관객 친화적 영화제를 지향하겠다”고 설명했다.
극장에서 상영하지 않는 OTT 작품 초청 문제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부국제는 역대 최초로 OTT 영화이자, 청소년관람불가 등급인 넷플릭스 영화 ‘전,란’을 개막작으로 선정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정 위원장은 “한국영화 산업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는 만큼, 저희도 공감하고 실감하고 있다. 다만 여기 있는 사람 중에서 OTT를 안 보는 이들은 아마 없을 것이다. 이미 한국 문화에 폭넓게 자리하고 있는 OTT를 배제하고 외면하는 것 자체가 오히려 이상한 일”이라며 “향후에도 OTT 작품이라고 해서 무조건 배제할 생각은 없다. 작품의 중요도와 가치를 중심으로 고려할 생각이다. 또한 개막작이 영화제의 전체를 상징하는 건 아니다. 작년엔 OTT 영화가 개막작이란 이유로 논란이 있었지만, 영화제 입장에서는 개막작 한 편이 아닌, 올해 신설된 경쟁 부문 14편을 포함한 240편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부산국제영화제는 오는 9월 17일 개막해 9월 26일까지 열흘간 부산 영화의전당 일대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