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th JIFF

개막작 ‘콘티넨탈 ’25’, JIFF 여는 문제작

입력 : 2025.04.30 18:00
전주국제영화제 찾은 콘티넨탈 ‘25 배우들. 사진제공|연합뉴스

전주국제영화제 찾은 콘티넨탈 ‘25 배우들. 사진제공|연합뉴스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를 문제작이 문을 연다. 베를린영화제 은곰상을 받은 라두 주데 감독의 영화 ‘콘티넨탈 ’25’가 개막작으로 선정돼 관객들을 만난다.

30일 오후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에서 진행된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작 시사 및 기자간담회에는 민성욱·정준호 공동집행위원장, 문성경 프로그래머, 출연배우 에스테르 톰파, 베네데크 미클로시 터나세, 아도니스 탄차 등이 참석해 질의응답에 응했다. 라두 주데 감독은 불참했다.

전주국제영화제 개막작 소개하는 정준호 집행위원장, 사진제공|연합뉴스

전주국제영화제 개막작 소개하는 정준호 집행위원장, 사진제공|연합뉴스

‘콘티넨탈 ’25’는 트란실바니아의 중심 도시 클루지의 법정 집행관 오르솔라(에스테르 톰파)가 건물 지하에서 노숙자를 강제로 퇴거시키다가 사망에 이르게 한 뒤 자신에게 닥친 도덕적 위기를 어떻게든 해결하기 위해 분투하는 사회고발물이다. 루마니아와 헝가리 사이 민족적 갈등을 배경으로 계급간 차별을 다룬다.

이날 정준호 공동집행위원장은 “‘콘티넨탈 ’25’를 개막작으로 초청한 걸 가문의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운을 뗐다. 그는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대담한 영화로 우리 시대에 어울리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새로운 서사와 형식 속에서 기술과 인간 삶이 서로 관계를 맺으면서 빠르게 변하는 시대상을 잘 반영한 작품이다. 전주국제영화제는 그 시작부터 ‘대안’을 정체성으로 삼아왔기 때문에, 여러 정형과 한계에서 벗어난 ‘대안’이라는 면에서 이 작품을 소개할 수 있어서 영광”이라고 말했다.

아도니스 탄차는 “난 루마니아인이고, 에스테르 톰파는 헝가리인이지만 우린 절친한 사이다. 양국이 지닌 갈등은 예전의 것이다. 혹은 지방 사람들이 민족주의적 차별관을 갖고 있는데, 매우 어리석다고 생각한다”며 “영화가 가진 힘으로 루마니아, 헝가리 밖에서 상영되고 관객들에게 울림을 보여줄 수 있어 영광이다. 양국 모두 사랑으로 관계가 좋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주국제영화제 찾은 에스테르 톰파, 사진제공|연합뉴스

전주국제영화제 찾은 에스테르 톰파, 사진제공|연합뉴스

오르솔라 역을 맡은 에스테르 톰파는 “이 문제에 대해 루마니아인인 아도니스 탄차가 먼저 답변한 게 재밌다. 사실 루마니아인이 다수 민족이고, 난 소수민족인 헝가리인인데 이런 갈등이 영화로 만들어진 건 처음이다”며 “촬영 종료 후 루마니아서 선거가 있었고 극우주의가 떠오르고 있다. 극우 진영 후보가 ‘헝가리인은 소수고 물과 공기를 가진 것만으로도 행복한 줄 알아라’라며 ‘헝가리인은 헝가리어를 하지 마라’라고 한다. 그런 현실을 많이 반영하는 영화라 더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문성경 프로그래머는 “이 영화에서 라두 주데 감독은 한편의 영화나 사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지 않는 것 같다. 그런 연장선에서 극 중 오르솔라에 대한 가치 평가도 하지 않는다”며 “인간은 허망한 느낌을 혼자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계속 얘기하는데, 어느 순간 그 근본을 잊게 된다는 사회적 현상을 영화적으로 꼬집은 게 아닌가 싶다”고 설명했다.

한편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이날 오후 6시 30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에서 김신록, 서현우의 진행 아래 개막식을 치른다. ‘우리는 늘 선을 넘지’라는 슬로건 아래 오는 5월 9일까지 열흘간 펼쳐진다. 전세계 57개국 224편(해외 126편·국내 98편)의 영화가 전주 영화의 거리를 비롯해 전주시 일대에서 상영된다.

박수, 공유 영역

댓글 레이어 열기 버튼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