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모르는 정기결제?’ 공정위, 쿠팡·현대자동차 등 구독서비스 실태 조사하는 이유

입력 : 2025.05.13 10:42

매달, 나도 모르는 정기결제 계속된다면?

국내 경쟁당국이 매달 일정 금액을 받고 콘텐츠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시장의 거래 실태를 들여다본다.

‘나도 모르는 정기결제?’ 공정위, 쿠팡·현대자동차 등 구독서비스 실태 조사하는 이유

공정거래위원회는 13일부터 약 5주간 구독서비스 분야 국내외 37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구독서비스 시장 실태조사’를 한다고 밝혔다.

최근 디지털콘텐츠·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멤버십 서비스 등 산업 전반에서 구독서비스 방식이 기업의 주요 경영 전략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계약 체결·갱신 시 정보제공이 충분치 않거나, 특정 기능이 이미 탑재되어 있음에도 추가로 돈을 내야 하는 등 소비자 불편 사례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공정위는 이 시장의 소비자 이슈와 대응 방안을 분석하기 위해 서면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공정위는 사업 일반현황, 고객센터 운영 현황, 계약 체결·갱신 시 정보제공 현황, 청약철회·일반해지·중도해지 정책 현황 등으로 구성된 서면 실태조사표를 각 업체에 보낼 예정이다. 필요하면 추가 자료도 요청한다.

조사 대상은 학계·업계 간담회 등을 통해 선정한 6개 분야 37개 서비스다.

일단 영상·음원 분야는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유튜브 프리미엄, 웨이브, 티빙, 멜론, 스포티파이, 지니뮤직 등이 조사 대상이다.

‘나도 모르는 정기결제?’ 공정위, 쿠팡·현대자동차 등 구독서비스 실태 조사하는 이유

전자책 분야는 교보문고 sam, 리디셀렉트, 밀리의 서재, 예스24 크레마클럽 등이 선정됐다.

이 밖에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구글 드라이브 등 클라우드·문서, 현대자동차·기아·테슬라 등 커넥티드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쿠팡와우·배민클럽 등 멤버십 서비스 등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공정위는 조사 결과를 심층 분석한 뒤 학계와 외부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올 연말까지 ‘구독경제와 소비자 이슈 정책보고서’를 펴낼 예정이다.

박수, 공유 영역

댓글 레이어 열기 버튼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