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무대서 미리 본 ‘지도자 김연경’…“인기 많아지지 않을까요?”

입력 : 2025.05.19 13:01
김연경이 지난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KYK 인비테이셔널 2025’ 둘째 날 경기에서 비공식 감독 데뷔전을 치렀다. 연합뉴스

김연경이 지난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KYK 인비테이셔널 2025’ 둘째 날 경기에서 비공식 감독 데뷔전을 치렀다. 연합뉴스

선수 김연경(37)의 은퇴 경기는 ‘지도자 김연경’을 미리 보는 무대였다.

김연경은 지난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KYK 인비테이셔널 2025’ 둘째 날 세계 올스타 경기에 ‘팀 스타’의 감독 겸 선수로 출전했다. 코트 안의 해결사로 익숙한 김연경이 코트 밖의 사령탑으로 팬들에게 처음 인사했다. 김연경은 1·3세트에 감독, 2·4세트에 선수로 뛰며 80-63 승리를 이끌었다.

비공식 감독 데뷔전을 치른 김연경이 내린 첫 번째 작전은 ‘엔조이’(enjoy)였다. 그는 이날 ‘KYK ♡ ENJOY!’가 적힌 작전판을 들고 선수들의 기운을 북돋웠다. 경기 후 김연경은 “선수들이 코트에서 즐겁게 배구를 하는 것이 작전이었다”며 “선수들이 다운되거나 행복해 보이지 않을 때 작전판을 보여줬다”고 웃었다.

지난달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끝으로 흥국생명 유니폼을 벗은 김연경은 한 달여 만에 코트로 돌아와 선수로서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당장은 푹 쉬고 싶다”고 말한 김연경은 지도자 등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앞으로의 미래를 그려나갈 계획이다.

이날 김연경이 감독 역할을 한 건 하나의 이벤트였지만, 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그에게 귀중한 경험으로 남았다. 김연경은 “진짜 감독이라는 게 쉽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그래도 선수들이 잘 따라줘서 수월한 편이었다”며 “나중에 감독을 하게 되면 오늘이 제일 편했던 날로 기억될 것 같다”고 전했다.

김연경이 지난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KYK 인비테이셔널 2025’ 둘째 날 경기에서 비공식 감독 데뷔전을 치렀다. 연합뉴스

김연경이 지난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KYK 인비테이셔널 2025’ 둘째 날 경기에서 비공식 감독 데뷔전을 치렀다. 연합뉴스

2005~2006시즌 V리그에 데뷔한 김연경은 일본, 튀르키예, 중국 등 여러 해외 리그를 누비며 최정상급 아웃사이드 히터로 자리매김했다. 세계적인 선수로 명성을 떨친 만큼 지도자로서 행보 또한 국경을 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연경은 “지도자를 한다면 곳곳에 친구들이 많으니까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여러 제안이 있을 수 있어서 열어 놓고 생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배구연맹(FIVB)에서 여자 코치를 의무적으로 둬야 한다는 뉴스를 봤다. 좋은 타이밍이라 인기가 많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미소지었다.

그의 말처럼 FIVB 이사회는 2026 발리볼네이션스리그(VNL)부터 여자배구 대표팀이 최소 1명의 여성 코치를 등록하도록 의무화했다.

김연경의 은퇴식을 빛내러 기꺼이 한국을 찾은 동료들은 그의 앞날을 응원했다.

김연경과 엑자시바시(튀르키예) 등에서 한솥밥을 먹었던 조던 라슨(미국)은 “김연경은 선수의 기량을 최고로 끌어내는 걸 잘했다”며 “그의 성격이나 태도는 감독에도 잘 어울린다”고 말했다. 페네르바체(튀르키예)에서 김연경과 인연을 맺은 에다 에르뎀(튀르키예)도 “김연경은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는지 아는 선수였다”며 “이런 자질은 모두가 갖지 못한 독특한 자질이라서 무엇을 하든 성공할 것”이라고 거들었다.

김연경이 지난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KYK 인비테이셔널 2025’ 둘째 날 경기 후 은퇴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연경이 지난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KYK 인비테이셔널 2025’ 둘째 날 경기 후 은퇴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수, 공유 영역

댓글 레이어 열기 버튼

기자 정보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