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주체 상생 위한 특별법 제정 필요성
제작사 “편성 불확실성·자금 회수 리스크”
정치권 “행정·입법 권한 활용해 실질 개선”

지리산 뱀사골에서 드라마 ‘지리산’을 촬영하는 제작진들. 경향신문 자료사진
한국 드라마가 위기에 빠졌다는 공감대와 함께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제도화가 논의됐다.
지난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K-드라마 산업 제도 개선 및 정책 제안 간담회’가 열렸다. 대한민국 선거대책위원회 후보 직속 K-문화강국위원회·잘사니즘 문화예술위원회, (사)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가 공동 주최했다. 이기헌·김준혁 의원, 이우종 위원장, 송병준 협회장 등 주요 인사와 드라마 제작사 대표들이 참석해 정책 대안을 모색했다.
이기헌 의원은 정부 차원의 제도적 개입과 산업 주체 간 상생을 위한 대타협을 강조하며 “드라마산업 특별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준혁 의원은 한국 드라마의 사회적·문화적 가치를 역설하며 “글로벌 자본 중심 제작 환경에서 산업을 지키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간담회에서는 편성 축소 수익구조 악화 출연료 급등 광고 규제 등이 현장의 복합적 위기 요인으로 지목됐다. 제작사들은 편성 불확실성 유통 지연 자금 회수 어려움으로 인한 구조적 리스크를 집중 제기했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는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정책 과제를 체계 발표했다.
자유발언 시간에는 제도적 개선 방향과 국회·정부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산업계와 정치권이 정기 소통 협력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의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우종 위원장은 “드라마 산업 양극화와 글로벌 OTT 자본 영향에 대응하려면 정부가 명확한 정책 신호를 줘야 한다”며 “여당이 되면 행정·입법 권한을 활용한 실질적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송병준 협회장도 “관행적 지원을 넘어서는 대담한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며 “지금이 바로 K-드라마 산업의 구조적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는 국회와 산업계가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실행 가능한 정책 해법을 논의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 향후 제도화와 정책 반영을 통해 드라마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