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5선발 문동주, 안정적 투구로 5승째
안정감 KIA 김도현·첫승 SSG 김건우도 ‘눈도장’
팬들은 차세대 토종 에이스 예고편 보는듯

KT 오원석, LG 송승기, 한화 문동주, SSG 김건우, KIA 김도현(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 각 구단 제공
2025시즌 KBO리그의 ‘투수 강세’ 바람을 타고 ‘막강 5선발’도 뜬다.
리그 다승·평균자책 10위권에는 소속 팀에서 5선발로 뛰는 투수 LG 송승기와 KT 오원석이 포함돼 있다.
둘 다 지난 9일까지 나란히 7승(3패)씩을 수확해 이 부문 공동 4위에 랭크돼 있다. 송승기는 평균자책 2.30(3위), 오원석은 2.79(10위)로 외국인 에이스급 활약을 펼치고 있다. 두터운 선발야구를 펼치는 LG와 KT에서 각각 핵심 전력으로 자리매김했다.
2002년생 좌완 송승기는 외인 에이스와 맞대결에서 밀리지 않는 투구로 시선을 끌었다. 안정적인 제구를 바탕으로 위기 상황에서도 범타 유도율이 높아 실점이 많지 않다. 지난 8일 키움전 7이닝 무실점 투구까지 최근 5경기에서 모두 승리투수가 되는 등 상승세가 이어진다. 임찬규(8승2패)에 이어 팀 내 다승 2위다.
KT에서는 2001년생 좌완 오원석이 복덩이다. 오원석은 지난 시즌 뒤 트레이드를 통해 SSG에서 KT로 이동했다. 자유계약선수(FA) 엄상백(한화)과 결별을 예감한 KT가 선발을 보강하기 위해 진행한 이 트레이드는 완벽히 성공으로 향하고 있다. SSG에서는 성장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던 오원석이 KT에서는 그 잠재력을 터뜨리고 있다.
KT는 길어지는 타격 침체 속 외인 선발 듀오의 활약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시즌 초반 고전하면서도 고영표, 소형준, 오원석으로 이어지는 리그 최고 토종 선발 트리오로 버텼다. 그 중 오원석은 팀 내 최다승을 거두고 있다. 지난 4일 한화전 6.2이닝 동안 10삼진을 잡고도 4실점하며 패전투수가 됐지만 이전까지 8경기에서 6승1패의 빼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5선발 경쟁군에서 시즌을 맞은 KIA의 2000년생 우완 김도현도 선발진의 버팀목이 되고 있다. 양현종(4승4패 평균자책 5.27), 윤영철(1승5패 평균자책 5.40)과 비교해 승운이 부족한 김도현은 12경기에서 2승(3패)에 그치고 있지만 평균자책은 3.15로 가장 좋다. 등판할 때마다 크게 흔들리는 일 없이 임무를 마치고 내려온다.
휴식을 위해 잠시 로테이션에서 빠진 한화 문동주의 활약도 좋다.
2022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에 1차 지명된 2003년생 우완 문동주는 이번 시즌 훨씬 안정적인 투구 내용으로 5승(10경기 2패 평균자책 3.68)을 따냈다.
2000년생 김건우(SSG)는 문승원의 부상과 송영진의 부진으로 최근 5선발 기회를 얻었다. 3번째 선발 등판해 4일 삼성전에서 5이닝 무실점으로 첫승을 거뒀다.
김건우는 SSG가 202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1차 지명한 좌완 기대주다. 예상과 달리 시즌 중 선발로 이동하게 돼 투구 수와 구종 강화, 제구 보완 등의 숙제를 풀어야 한다.
잘 나가는 5선발 모두 벌써 개인 최고 성적으로 향하고 있다. 현재 흐름을 이어가면 모두 첫 선발 10승도 노려볼 수 있다. 2000년대생인 이들 모두 각 팀 차세대 토종 에이스 유력 후보라 더욱 시선을 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