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연간 최대 8억3000만개 생산
삼양식품이 전세계 라면 시장 공략을 위한 ‘전진기지’인 밀양 제2공장을 완공했다.
삼양식품은 11일 경남 밀양시 부북면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에서 밀양 2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2공장 건설은 불닭볶음면의 글로벌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것으로 작년 3월 착공해 약 15개월이 걸려 완공됐다.

삼양식품 밀양 제2공장
2공장은 연면적 3만4576㎡(약 1만평)에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구축됐다. 6개 생산라인(봉지면·용기면 각 3개)을 갖춰 라면을 연간 최대 8억3000만개 생산할 수 있다.
투입 비용은 1838억원으로 6년 내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삼양식품은 자신한다.
3년 전 완공한 밀양 1공장보다 연면적은 작지만 자율주행 물류로봇(AMR)을 도입하는 등 진화한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갖추고 생산 라인이 늘어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1공장의 연면적은 7만303㎡, 연간 생산량은 최대 7억5000만개다.
2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하면 밀양 1·2공장의 생산 물량은 연간 최대 15억8000만개로 늘어난다. 이는 삼양식품 연간 수출 물량의 절반 수준이다.

삼양식품 밀양 제2공장
1공장에서는 중국으로 수출하는 불닭볶음면을 주로 만들고, 2공장에서는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으로 보내는 까르보 불닭볶음면 위주로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익산공장과 원주공장 물량까지 합치면 연간 불닭류 라면 생산량은 약 28억개가 된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불닭이라는 별은 이제 막 타오르기 시작했다”며 “앞으로 더 오래 타오르기 위한 준비와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2년 국내에서 출시된 불닭볶음면은 현재 100여국에 수출되고 있으며, 중국과 미주로의 수출 비중이 매출 기준 28%씩으로 가장 많다.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는 “불닭의 인기는 정점이 아니라 이제 궤도에 올랐다고 생각한다”며 “코카콜라 등 유명 브랜드의 아성을 따라잡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